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회사에서 직원 채용 시 주의해야 하는 사주와 좋은 사주

무료운세/운세

by 쎈쑈 2025. 1. 16. 14:30

본문

반응형

회사에서 직원을 채용할 때 주의해야 하는 사주와 좋은 사주가 있습니다. 

옛말에 수신재가치국평천하라고 가정을 다스릴 줄 아는 자가 국가를 다스린다고 하였습니다. 

가정의 규모를 크게 가면 회사라는 조직이 되고 조금 더 넓히면 국가라는 규모로 달라집니다. 

 

사주에서 월간가 월지는 회사로 보고 년간과 년지는 국가로 봅니다.  회사에서 직원을 채용할 때 월간과 월지에 길신이 있으면 회사에 도움이 되는 사주입니다. 십성 중에 정인, 정재, 정관, 식신이 해당합니다. 길신의 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인 : 회사가 명성을 얻습니다. 

정재 : 회사가 정기적인 수입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정관 : 회사가 바르게 성장하여 국가조직과 일을 할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식신 : 회사의 기술력이 높아집니다. 

 

흉신이 있다면 아무래도 회사에 불리하게 작용합니다. 편인, 편관, 상관, 겁재가 해당합니다.

편인 : 편인이 편관과 같이 있으면 망할 수 있습니다. 편인은 남을 위한 생각이며 생각이 복잡합니다. 잘못된 결정을 내립니다. 

편관 : 편관은 험난한 환경입니다. 기술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회사는 힘든환경을 뚫고 나갈 수 없습니다. 

상관 : 상관견관 위화백단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상관은 법 태두리망을 벗어나는 행동을 하여 관재수를 유발합니다. 

겁재 : 겁재는 타인의 것을 겁탈하려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는 도둑같은 마음입니다. 상관과 겁재가 같이 있으면 겁상이 되어 법테두리 망을 벗어난 방법으로 남의 것을 도둑질하려 하는 마음으로 크게 나빠질 수 있습니다.  

 

사주에서 나를 나타내는 천간 십간은 갑목, 을목, 병화, 정화, 무토, 기토, 경금, 신금, 임수, 계수 입니다. 

직원을 채용할 때 양간이 흉신을 가졌을 때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음간의 경우 이미 양간을 거쳐 왔기 때문에 큰 사고는 치지 않지만 양간의 경우 사고를 치면 크게 칩니다. 

양간은 갑목, 병화, 무토, 경금, 임수가 해당됩니다. 음간은 을목, 정화, 기토, 신금, 계수가 해당됩니다. 

직원을 채용했는데 양간의 편인과 편관이 있다면 회사가 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양간의 상관과 겁재가 있으면 겁상으로 관재수가 발생할 수 있으니 이 또한 주의해야 합니다. 

직원을 채용했는데 정재와 정관이 있다면 재생관으로 회사는 정기적인 수입이 발생하면서 회사의 규모가 커집니다. 직원을 채용했는데 식신과 정재가 있다면 기술력이 성장하여 정기적인 수입이 발생합니다. 직원을 채용했는데 정관과 정인이 있다면 관인상생으로 회사는 명성을 얻게 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